728x90
반응형

이태원참사 2

이태원 압사사고 생존자가 전한 압박감의 정도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생존자가 멍든 다리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31일 자동차 중고사이트 보배드림에는 '이태원 생존자입니다'라는 제목으로 글과 사진이 올라왔고, 글쓴이는 "제가 그날 이태원을 가서 이런 일을 당한 거 잘 알고 있다. 모든 게 다 제 탓이다. 그래서 그 누구도 원망하지 않는다. 단지 저는 그날에 같이 살아 나오지 못한 피해자분들께 죄송스러운 마음 뿐"이라며 심경을 털어놨습니다. 마지막으로 "병원에 갈 생각도 못하고 있었는데 너무 많은 분들이 걱정해주고힘이 돼주셔서 지금 막 응급실 가서 검사받고 왔다.현재는 큰 이상은 없다고 들었고 앞으로 외래진료받으면 된다고 한다.너무 걱정 많이 해주시고 힘을 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했습니다. https://bltly.link/qRY..

살아가는동안 2022.11.01

이태원 압사사고 이후 추가적인 심리적 트라우마 발생 예방법

1. 여과 없이 사고 당시의 현장 영상과 사진을 퍼뜨리는 행동을 중단해야 합니다. 사고 당시의 영상과 사진들이 SNS를 통해 여과 없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고인과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2차, 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국민에겐 트라우마를 남겨줄 수 있습니다. 2. 혐오 표현의 자제가 필요합니다. 재난 상황에서 온라인상에서 나타나는 혐오 표현은 고통 속에 있는 유가족과 현장에 있던 분들의 트라우마를 더욱 가중시키고 회복을 방해합니다. 생각지도 못한 사고에 고인이 되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혹시나 이태원 현장에 깔려있다 빠져나온 사람들 중 컨디션이 이상하거나 어지럼증, 복부통증, 구토증세, 무력감 등이 느껴진다면 이동 가능한 응급의료시설에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당장은 이..

살아가는동안 2022.10.30
728x90
반응형